분류 전체보기 38

SAN/NAS study(1)

SAN과 NAS 관리자 가이드 - 커티스 프레스톤(한빛미디어) 책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Chapter1 - SAN과 NAS란? 컴퓨터가 개발되고 운영되면서 많은 개발자들은 디스크를 쉽게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결과 슈가르트가 정의한 SASI(Shugart Associates System Interface)를 기반으로 하여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가 탄생하였다. 결과적으로 SAN과 NAS는 각각 SCSI가 SAN으로 발전한 형태, NFS, CIFS가 NAS로 발전한 형태이다. 따라서 SCSI, NFS, CIFS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진화된 형태의 SAN과 NAS는 이전의 SCSI, NFS, CIFS보다 어떠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자. ..

Network 2021.02.08

Perl - Mojolicious tutorial(1)

GMS project - unitTest code 작성을 위해서는 MVC pattern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시스템구조와 그를 구현하는 웹프레임워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Web framework는 Python-Django, Java-Spring 등 여러가지가 있지만 GMS에서는 perl언어를 이용하여 개발, web framework도 perl의 Mojolicious를 사용한다. https://docs.mojolicious.org/Mojolicious/Guides/Growing Mojolicious::Guides::Growing - Growing Mojolicious applications Mojolicious::Guides::Growing - Growing Mojolicious applications ..

Design Pattern 2021.02.05

Ubuntu - SSH root 로 접속하기

VMware에 Ubuntu-desktop 18.04를 설치하고, 사용하려고 보니... 내 컴퓨터의 해상도가 워낙 높은지라 VMware application자체의 디스플레이가 너무 작게 보였다. 사용하는데 불편 ㅠㅠ 그래서 local(우분투20.04)의 terminal로 ssh를 이용하여 접속을 시도. VM에서 ip a 를 치면 IP주소가 나온다. 이 주소를 이용하여 ssh로 접속시도. VM에서 root의 password를 제대로 설정해 주었고, ssh접속 시에도 password를 정확히 입력했음에도 permission denied가 뜨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우분투 ssh설정에 처음부터 root로 접근하는 것을 막도록 설정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 수정방법 # vi /etc/ssh/sshd_confi..

Linux 2021.02.04

Git Basic

GMS project - 나의 담당업무인 Perl로 unitTest module 파일을 작성하는데 앞서, 먼저 전체적인 GMS의 구조를 보았을 때 MVC (Model, View, Controller)의 패턴을 사용하고 그것들을 구현하는 것이 web framework이기 때문에 perl의 Mojolicious를 사용한 웹프레임워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책임님께서는 오늘 perl의 mojo를 비롯하여 Mojolicious의 간단한 사용법을 교육하려고 계획했으나, project를 진행하면서 사용할 tool인 gitlab에 대해 무지한 우리(인턴들) 때문에 오늘은 git에 대한 교육이 선행되었다. git이 왜 필요한지부터 간단히 생각해보자면, 이렇게 기존에 중앙집중형 server는 오직 하나의 his..

Git 2021.02.03

Network 스터디(2)

2번째 Keyword - NFS 어떠한 서비스인지 공부해보고 VM장비(CentOS7) 2개를 가지고 서로 서비스 해보기. '''systemctl''' 명령어도 추가로 공부해보자. NFS(Network File System)란? - Client가 network상의 파일을 직접 연결된 storage에 접근하는 방식과 비슷한 방식으로 접근하도록 도와줌. ex - 파일 탐색기에서 ondrive 또는 googledrive가 보이는 것 처럼 그러한 파일 공유 storage service를 해준다. 마음대로 저장하거나 수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주는 Server/Client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 system에는 nfs client가 설치되어 있어야 하고, server로 사용될 컴퓨터에는 NFS server가 설치되..

Network 2021.02.02

Network 스터디(1)

Linux(CentOS7) 환경에서 Computer Networking이 어떻게 설정되고, 동작하는지 알아보는 스터디 과정. 최종 궁극적 목표로는, 실 장비(서버)를 만지며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회사의 sw제품을 이해하여 원하는 대로 network를 자유자재로 구성할 수 있는 것. 첫째 날(2021.1.28) 가상머신(VMware또는 VirtualBox)에 CentOS7을 2대 설치하고, network setting 해보기. VMware 자체 설정으로 network 대역폭 나눠보기. 먼저, VMware를 사용함에 있어서 실제와 가상의 개념을 나누면 더욱 헷갈린다. 우리가 현재 사용하는 것은 가상의 machine이지만, 그냥 physical 하게 존재한다고 생각하고 다루는 것이 편리하다. VMware Wor..

Network 2021.02.02